오늘은 소니의 "PlayStation1"의 에뮬레이터로 유명한 ePSXe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너무나도 많은 분들이 PS1을 구동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플스1의 에뮬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추가로 몇 가지 알려드린다면 PCSX와 VGS(Virtual Game Station)이라고 있습니다.
PCSX2가 개발 초기에 정말 느렸었는데 그때는 플스2보다 1을 더 많이 했었습니다.
지금은 ePSXe가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VGS XP로 게임을 실행했습니다.
가상 드라이브를 생성하는 CD스페이스나 데몬툴을 설치해서 타이틀을 로드해서 구동했었습니다.
굉장히 부드럽게 그래픽이며 사운드며 문제없이 돌아갔던 시절이었습니다.
지금은 갈아타서 바뀌게 되었지만 문구점에서 게임천국과 같은 Emul 모음을 샀던 기억도 생각납니다.
가장 많이 했던 소프트는 철권이었고 슈퍼로봇대전 알파도 했었습니다.
최신 기기가 발달해서 스마트폰으로도 충분히 돌릴 수 있는 시대가 된 지금으로는
컴퓨터보다는 핸드폰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저도 가지고 있는 LG G2(지투)를 Emulator 머신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어떻게 비디오나 사운드 그리고 패드를 설정하는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명에 앞서 제 PC의 사양을 간단하게 말씀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CPU는 AMD 데네브 945이고 RAM은 총 6기가 바이트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는 지포스 GTS 250 1GB를 쓰고 있지만 높은 스펙은 아닙니다.
가장 먼저 필요한 준비 자료에 대해서 알려드리고 아래에서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실행기가 필요하고 바이오스(Bios) 파일과 플러그인 그리고 게임 이미지가 필요합니다.
에뮬은 밑에서 원하는 버전으로 다운받아서 압축을 풀어주시면 준비가 완료됩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가시면 최신 버전이 발표되면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 가장 최신은 ePSXe 1.9.0 버전이 마지막이고 그 전이 1.6.0이 좋습니다.
바이오스는 공유가 불가능하니까 직접 구글링을 하셔서 구하시면 됩니다.
SCPH1001.bin 파일을 검색하시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쉽게 받을 수 있습니다.
밑에 동영상은 제가 설명하려는 과정을 직접 녹화한 유튜브 영상입니다.
한번 재생해서 보신 다음에 따라 하시면 더욱더 어렵지 않게 똑같이 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스크린샷과 글로 하나씩 설명하면서 세팅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준비물이 다 되었다면 따라 하셔도 되지만 제대로 준비가 안됬으면 빠짐없이 구해야 합니다.
첫 번째로 위 사진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촬영하여
폴더가 안 보이지만 Bios 폴더에 SCPH-1001.bin을 넣어야 합니다.
플러그인까지 추가하시고 ePSXe.exe 실행기를 더블클릭해서 열어주시면 실행됩니다.
스크린샷에서 보이듯이 메뉴에서 Config를 선택하시면 설정할 수 있는 메뉴가 나옵니다.
비디오와 소리, 드라이브, 바이오스와 메모리카드 그리고 게임 패드 설정까지 있습니다.
넷플레이 기능도 내장되어 있어서 친구들과도 함께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Config - Video"를 마우스로 클릭해서 들어갑니다.
위 화면에서 Select/Config Main Video Plugin에서 "Pete's OpenGL2 Driver 2.7"로 선택합니다.
바로 밑에 버튼에서 Configure를 클릭하시면 오른쪽으로 크게 설정창이 나옵니다.
전체 화면으로 하려면 위에 화살표와 같이 Fullscreen Mode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프레임은 꼭 "FPS Limit (10-200)"을 선택하고 60.0 FPS로 고정시켜 줍니다.
또 Default Settings에서 Fast와 Nice 버튼을 선택해서 간단하게 옵션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피씨가 조금 안 좋으면 Fast로 하시고 괜찮다면 Nice로 하시면 됩니다.
세 번째로 "Sound"메뉴로 가시면 되는데 특별하게 소리 설정은 조절하거나 선택할 사항은 없습니다.
위와 같이 Select Sound Plugin에서 sPSXe SPU core 1.9.0으로 맞추고
아래쪽 Sound Enabled를 체크하시고 OK를 클릭해서 저장하시면 됩니다.
네 번째로 "Cdrom"은 위와 같이 [Zink88]'s Disk Image Driver 0.9로 맞춰주시면 됩니다.
씨디롬도 Configure를 클릭해도 특별하게 설정할 것은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조이스틱이나 조이패드, 키보드 등을 설정할 Game Pad 메뉴입니다.
Game Pad - Port 1 - Pad 1로 들어가시면 되고 마우스로 클릭 후 원하는 키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조작하는 조종기마다 다르니까 핑크색 화살표를 보시면 몇 가지 소니 정식 컨트롤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메모리카드(Memory Card)는 MCR과 MEM, MCD, GME 형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위의 파일 형식과 같은 세이브 파일이 있으면 선택해서 불러오기 하시면 저장했던 시점부터 할 수 있습니다.
게임 실행은 File - Run CDROM이나 Run ISO를 선택해서 구동하시면 됩니다.
이것은 가상 드라이브가 필요 없어서 그 점에서는 정말 좋은 장점인 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도 똑같은 어플이 있으니까 받아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저는 여기서 마무리하고 또 다른 유익한 정보를 가지고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