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LS산전의 XG5000이라는 프로그램을 가지고 만든 횡단보도 숫자등 제어회로를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시간에 설계한 교통 신호와 보행자 신호를 공개했었는데 완벽하다고 생각했지만 부족한 것도 있었습니다.
곧 전기기능사 실기 시험 때문에 마음이 조급해서 빨리 만들어야겠다는 생각만 가지고 작업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숫자 등은 생각하지 못했는데 이왕에 만든 것을 더 완벽하게 만들어보자고 생각해서 추가로 작업했습니다.
PLC 프로그램으로 새로운 파일을 생성해서 만들었는데 숫자가 많이 들어가면 그만큼 타이머 릴레이도 똑같이
들어가기 때문에 숫자는 많이 넣지 않고 0부터 3까지만 넣어서 짧게 진행할 수 있도록 회로를 설계하였습니다.
그리고 아래쪽에 올린 사진은 자동으로 반복하는 회로도가 아니라 수동으로 버튼을 눌러서 작동하는 것입니다.
유튜브 동영상에는 수동과 자동으로 동작하는 회로도를 같이 녹화하였으니까 확인하시면 되고 반복하는 것은
첫 번째 줄에서 리셋만 걸어주면 되기 때문에 일반 릴레이 소켓만 하나 더 추가해서 무한 반복시켜주면 됩니다.
일단 반복이라는 개념이 버튼을 눌렀다가 뗐을 때 작동하고 자신을 끄면서 다시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저는 어차피 저 상태에서 기존에 제작한 교통과 보행자 신호등 제어 회로의 아래쪽에 붙여주면 완성이 됩니다.
이미 모두 결합해서 완성한 것은 가지고 있는데 아직 녹화를 못 해서 유튜브 채널에는 올리지 않은 상태입니다.
조금 발전했지만 아직 갈 길은 멀고 끝나기 전에 곡 엘리베이터까지 만들고 가는 것을 목표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만들었을 때는 숫자를 4부터 1까지 넣었는데 생각해보니까 0까지 가는 것 같아서 숫자를 낮춰버렸습니다.
제가 한 것이 특별한 것은 아니지만 혹시라도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약간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두 가지를 합쳐서 배관 공사와 실제 동작을 보기에는 타이머나 릴레이가 부족해서 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제어판을 두 개를 벽에 붙이고 연결하고 작업량이 많고 시간은 없는 상황이라서 결론은 못 보여드릴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각개로 작업한 것은 실제로 동작하는 것을 공개하였기 때문에 설계하실 때 비슷하게 넣어주시면 됩니다.
역시나 오토 캐드 2급 자격증을 최근에 취득해서 시퀀스 도면도 제가 직접 그렸고 제어함이나 배관도까지 모두
도면으로 만들어서 전기기능사의 시험처럼 실습할 수 있도록 모든 것을 다 마친 상태라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XG5000에서 XGB로 할 때 I/O 파라미터에서 모듈을 선택해야 하는데 3가지를 넣어서 램프를 추가시켜야 합니다.
먼저 숫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리가 알고 있는 전광판과 비슷하게 램프 한 개가 액정의 도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숫자를 표현하기 위해서 총 13개의 램프가 필요하기 때문에 3줄로 하기 위해서 모듈을 3개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아래 PLC 회로를 보면 T1이 숫자 3을 나타내주는 것이고 T2가 숫자 2를 나타내고 T3가 숫자 1을 나타내게 됩니다.
그리고 T4는 숫자 0을 나타내주는데 뒤로 갈수록 회로가 짧아지는데 눈썰미가 있다면 이유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유는 3을 만들면 그 뒤로 2는 간단하게 램프가 겹치는 부분만 제외하고 바꿔주면 되기 때문에 더 쉽게 만듭니다.
당연히 1은 첫 줄과 두 번째 줄을 모두 소등해야 하기 때문에 릴레이가 조금 많이 들어가고 나머지는 비슷해집니다.
이런 식으로 만들면서 이어나가면 계속해서 더 많은 숫자를 넣어줄 수 있고 2자리수도 넣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것이 들어가면 다소 복잡해질 수 있어서 나중에 가서 틀리면 힘들기 때문에 적당히 넣어줍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저도 몰랐던 사실인데 PLC에서 시퀀스로 넘어오면서 바뀐 부분이 있는데 뒤쪽에 보면
T3가 다른 것들과는 반대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유는 접점 때문에 실제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 접점을 맞추면서 꼭 전체적으로 뒤틀어주면 실제 동작할 때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운전이 되는 것을 볼 수 있고 나머지들도 접점을 A 접점과 B 접점 등을 잘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제어함 내부 기구 소켓 배치도는 제가 임의로 넣었고 배관 공사도 제가 한쪽으로 부착하게 작도하였습니다.
켜고 끄는 버튼은 셀렉터 스위치를 넣었는데 처음에 PB 스위치를 넣으려다가 자동으로 바꿀 것 같아서 SS로
넣었는데 수동으로 끝나서 아쉽지만 수정하지 않고 셀렉타 스위치로 넣는 것으로 결정하고 마무리했습니다.
시뮬레이션은 위에 동영상으로 확인하면 되고 다음 포스팅에서 실제 동작하는 것을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