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게시물을 퍼갈 때는 출처를 꼭 남겨주세요!
  • 윈도우7에서 USB메모리로 레디부스트 설정하는 방법
    잡동 사니 2015. 9. 16. 11:10
    728x90
    반응형

    오늘은 아침부터 컴퓨터 속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소개하려고 합니다.

    윈도우 XP가 서비스 종료 이후 대부분의 PC에서 사라지고 그 자리에 Windows 7이 있습니다.

    저 또한 윈도우7 울티메이트 K를 사용하고 있고

    성능이 낮은 것은 아니지만 요즘 피씨에 비교하면 부끄럽습니다.

    하지만 에뮬레이터나 온라인게임인 디아블로3 등을 실행하는 것에 대해서 느리거나 렉이 심하지는 않습니다.

    충분히 구동하는데 무리 없고 오류도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문제는 없습니다.

    여기서 간단하게 제 피시 스펙을 소개하면 AMD 데네브 945 CPU와 RAM은 총 6기가 바이트를 사용하였습니다.

    그래픽은 지포스 GTS 250 1GB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업그레이드하고 싶지만 자금이 없습니다.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이고 빠르게 속도 향상을 시키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인 변경을 통해서

    부품 하나씩 교체하면 쉽게 스피드를 높일 수 있지만 그만큼 내 주머니를 털어갑니다.

    이런 인정사정없는 업글 방법이 아닌 집에서 놀고 있는 유에스비 메모리를 활용해서

    작지만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능이 있는 것을 알고 있습니까?

    OS에 내장된 기능으로써 "ReadyBoost"라는 기능인데 USB의 용량을 캐시로 사용하여

    더 빠른 시스템의 로딩 속도를 보여준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최고급 사양에서는 이 기능을 사용해도 크게 체감이 안되니까 선택은 알아서 하세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이 기능을 활성화하여 사용하고 있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아직까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설정법 또한 정말 간단하기 때문에 쉽게 한 번에 따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먼저 준비물이 무엇이 필요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기가 이상의 유에스비 메모리만 있으면 바로 할수 있습니다.

    아래는 직접 기능 설정하는 과정을 직접 녹화한 유튜브 동영상입니다.

     

     

    정말 간단하게 설정했는데 저는 1개를 본체 뒤에 장착하고 그대로 사용합니다.

    한번 설정하면 계속 적용되어 있어서 빼지 않고 놔두시면 됩니다.

    그럼 지금부터 하나씩 그 과정을 사진과 글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각 포토마다 핑크색 화살표로 표시하였기 때문에 그것만 잘 보시면 됩니다.

     

     

    첫 번째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메모리를 컴퓨터에 장착해합니다.

    윈도우에서 인식하여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하고 내 컴퓨터에 생성이 되면

    이동식 디스크를 선택해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메뉴에서 포맷을 클릭합니다.

    그다음 위 스크린샷과 같이 포맷창이 나오면 빠른으로 체크하고 시작을 눌러줍니다.

    주의하실 것은 중요 파일이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꼭 다른 하드디스크로 백업해서 보관하세요.

    그 책임은 제가 지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과실입니다.

     

     

    두 번째로 다시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서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등록정보 화면에서 일반, 도구, 하드웨어, 공유, ReadyBoost, 사용자 지정 탭이 있습니다.

    다른 메뉴는 필요 없고 우리는 레디 부스트 탭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럼 위와 같이 나오고 저기서 "이 장치를 ReadyBoost 전용으로 사용(D)"에 체크하시고 적용을 눌러줍니다.

     

     

    위와 같이 저장 장치에 "캐시를 구성하는 중..."이라는 설치창이 나타나고 잠시 뒤 사라집니다.

    이제 모든 셋팅이 완료되었으니 확인 버튼을 클릭해서 닫아줍니다.

    용량은 자신이 직접 조절하여 선택할 수 있으니까 원하시면 맞게 세팅하여 적용하세요.

     

     

    마지막으로 캐쉬 파일이 제대로 생성이 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동식 미디어 장치 탭에서 USB Memory를 보시면 용량바가 가득 차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완전히 저 기능으로만 사용하려고 생각해서 용량을 가득 채워버렸습니다.

     

     

    장치를 더블 클릭해서 디스크 안에 들어가시면 "ReadyBoost.sfcache"파일이 1개가 있습니다.

    크기도 3.903.488KB나 되고 제대로 설정이 된 것 같습니다.

    이제 평소와 같이 문서 작성 작업이나 인터넷 검색 등 업무를 보시면 됩니다.

    조금이나마 여러분들께 유익한 정보로 도움이 되었다면 저는 그것으로 만족합니다.

    그럼 여기서 마무리하고 다시 좋은 주제를 가지고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This is PlayX Blog.